지나치게 착한 사람이 결국 손해보는 이유 – <동백꽃 필 무렵>에서 배우는 자기 보호
착한 게 늘 미덕일까요?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속 주인공 ‘동백’은 한없이 착하고 배려심 깊은 인물입니다. 그런데 그녀의 착함은 종종 이용당하고, 무시당하며, 결국 자기 자신을 지치게 만듭니다. 저는 이 드라마를 보며 ‘착하다는 말이 꼭 칭찬이 아닐 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을 처음으로 하게 됐습니다. 오늘은 동백이라는 캐릭터를 통해, 관계 속에서 스스로를 보호하는 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1. “동백이는 왜 늘 미안하다고 말했을까?” – 착한 사람의 심리 구조 동백은 누군가에게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 항상 한 발 물러서고, 자신보다 남을 먼저 배려합니다. 특히 옹산 주민들의 편견이나 불편한 시선조차 “제가 좀 조심했어야 했죠”라며 스스로의 책임처럼 받아들입니다. 심리학에서 이런 유형을 ‘착한 아이 콤플렉스(good child syndrome)’라고 부릅니다. 어린 시절, 부모나 어른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감정을 숨기고 ‘착한 행동’을 반복하며 형성된 성격입니다. 이들은 갈등을 피하고 타인의 기대에 맞추는 걸 습관처럼 하게 되며, 결국 자기 감정을 억누르는 데 익숙해집니다. 동백의 행동도 그 연장선에 있습니다. 친절하지만 자기주장을 잘 못 하고, 오히려 “왜 저렇게까지 참고 살지?” 싶은 상황에서도 묵묵히 감당해냅니다. 이런 태도는 겉보기에 평화롭지만, 사실은 자기 감정과 욕구를 방치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저 역시 한때 “싫은 소리 못 하는 성격”이라는 말을 칭찬처럼 들으며 지낸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 ‘착함’은 결국 제 안에 스트레스로 쌓였고, 결국엔 관계를 끊는 식의 극단적인 선택으로 이어졌던 적도 있었죠. 관계 속에서 나를 지키는 방식, 반드시 필요하다는 걸 절실히 느꼈습니다. 2. 자기 보호 없는 착함은 결국 무기력으로 돌아온다 동백은 자신을 향한 비난이나 부당한 대우 앞에서도 큰소리 한 번 치지 않습니다. ...